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에 질문하고 답변을 구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질문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생성되는 답변의 차이는 매우 크다. 질문을 명확하게 제시하면서 키워드와 예시까지 전달하면 더 적절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인공지능에 질문하는 기법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라고 한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질문이나 명령을 전달하는 기술을 뜻한다.
챗gpt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 원칙을 적용하면 보다 더 좋은 답변을 구할 수 있다.
1. 명확한 문장으로 질문하자.
챗gpt에 질문하거나 말을 걸때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잘 알아듣고 정확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질문해야한다.
무슨 답을 원하는지 문장 구조를 갖춰서 질문해야 답변도 잘한다.
2. 키워드와 답변 스타일 제시하자.
글을 생성할 의도로 챗gpt에 질문하거나 글 작성을 요구할 때는 원하는 글의 키워드와 예시를 제시하면 더 적절하고 빠르게 답변을 구할 수 있다.
예) 여행을 마치고 돌아와서 블로그에 여행 후기와 같은 감상문을 작성한다고 가정하고, 글의 주제와 키워드를 제시하면 훌륭한 감상문을 생성합니다.
예) 가족 여행을 다녀온 학생이 체험활동 보고서를 제출한다는 상황을 가정하고, 다시 요구하면 보고서 스타일에 맞게 작성해 줍니다.
3. 여러 번 꼬리 물어 질문하자.
언어 모델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대입하려면 질문이나 요구를 더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필요한 내용을 점차 구체적으로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질문하면 더 상셍하고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4. 역할을 부여하자.
챗gpt에 적절하게 답변을 요구하는 방법의 하나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요구사항에 앞서 역할을 전제하고 질문하면 챗gpt는 그 역할을 가정하고 답변하기 시작한다.
예)선생님, 상담사, 회사원, 변호사, 작사가와 같은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하자. 특정 직업과 같은 역할을 부여하면 막연한 답변이 아니라 더욱더 구체적인 해당 직무에 맞추어 답변을 제시해 준다.
가. 중학교 교사 입장에서 과잉 행동 장애 학생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나. 팀장이라 가정하고, 팀원들의 협력을 높일 방안을 알려줘.
다. 의사의 입장에서, 암진단을 받고 시한부 삶을 살아야하는 환자에게 해줄 수 있는 희망의 메시지를 알려줘.
5. 예시를 제공하면서 질문하자.
챗gpt에 글 작성을 요구할 때 기존 예시, 즉 답변 샘플을 제시하면 더 유사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제시하는 예시는 길지 않고, 간결한 형식이면서 따옴표 안에 제시하면 더 좋다.
예) 다음 예시와 같은 수완하나중학교 홍보 문구를 3개 작성해줘.
'교수학습자료 > chat g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 GPT] 다양한 서비스 활용 방법 (0) | 2023.03.07 |
---|---|
[Chat gpt 자동 번역기] 프롬프트 지니 (0) | 2023.03.07 |